
태국이라는 나라는 참 음식을 즐긴다. 한국은 많이 먹는다는 느낌이 강하고 중국은 다 먹는다. 태국은 중국과 상당히 가까운 나라인데 다양한 음식을 좋아하는 건 비슷하지만 많이 먹기보다는 식탐이 다양한 것에 쏠린다. 워낙 더운 나라다보니 집에서 직접하기보다는 사서 먹는 외식문화가 일찍 발달했고 소득대비 외식비용이 상당히 높은 나라다. 자연스럽게 대기업들은 많은 체인점을 보유하게 되는데 어떤 것들을 가지고 있고 강점 및 우리가 파고 들어야 하는 포인트도 찾아보자. 가운데 있는 로고가 대기업들인에 제일 상단부터 CRG(센트럴그룹 산하), ZEN, MK, 마이너 그룹, 오이시그룹, 싱하 그룹이 있다. 센트럴 그룹은 태국 여행때 한번은 듣는 '센탄'으로 불리는 백화점을 소유한 그룹으로 유통 최강자라고 보면 된다. ..

말레이시아에 한국 편의점 CU 가 1호점을 열었는데 긴 대기줄로 인기를 끌었다는 뉴스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한국 드라마에서 나오는 그대로 해달라" 라는 현지 제휴사의 요구에 한글이 많이 있다는 사측의 설명이다. 결국 몇번을 외치고 있는 문화 컨텐츠의 힘을 여기서도 확인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니 제발 외국에 한국 홍보 행사한다고 제일 큰 비빔밥 만들기 같은 엉뚱한데 돈 쓰지말고 드라마 촬영할 때 장소 제공하고 한국적인 요소를 넣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하자. 우선 태국에 대입해서 생각해보자면 충분히 있을만한 일이다. 일본풍으로 해야 고급이고 성공할 수 있었던 태국에서도 점차 한국적인 색채를 입히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베트남의 이마트처럼 힘들었던 사례를 떠올리면서 결국 실패로 돌아..

우선 노란색으로 꾸며진 인테리어가 눈길을 확 사로 잡는다. 돈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눈에 띄게 이미지와 잘 어울리면 최고의 인테리어가 아닐까 작은 공간에도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태국 아마존 커피 처럼 중저가 시장을 노리는 브랜드로 보인다. 관광객에게 히트를 친 에프터유 (after you)도 아마존에 대항하는 중저가 커피 브랜드를 만들어 런칭했다. 기존 아마존 카페보다 더 저렴한 가맹비용과 오픈 비용으로 빠르게 가맹점을 늘려가고 있다. 이름은 Mikka. 지금 태국은 중저가 커피시장의 확장기다. 통신사 할인을 받으니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40바트가 안된다. 아마존 55바트니까 더 저렴하다. 일단 가격과 시스템은 더 경쟁력이 있어보인다. 마진율은 아무래도 PTT라는 거대한 모기업을 가지고 있..

1997 년 다나 씨암 시큐리티에서 출발해 2002년 파이스트 시큐리티로 사명변경을 하고 2010년 KTB 투자증권에서 인수후 사명을 변경한다. KTB ST는 진출 이후 2015년까지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2016년 이병철 부회장이 취임 이후 IB 역량 강화에 집중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뤘다. 특히 태국인 쿤윈 씨를 최고경영자(CEO)이자 2대 주주로 영입하면서 현지화에 성공했다. KTB투자증권 태국법인이 태국 증권거래소(SET) 상장을 추진한다. 국내 증권사와 현지법인 통틀어 해외에 상장하는 첫 사례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TB증권 태국(KTB Securities Thailand·KTB ST)은 올해 상반기께 상장이 유력시된다. KTB ST는 KTB투자증권이 지분 69%를 보유한 자회사다...

헬스케어 산업은 태국 국가 의제인 ‘태국 4.0’ 정책 실현을 위한 12대 미래산업의 하나로 지정되어 태국 정부에서 집중 육성 중이다. 특히 코로나19 발생으로 태국 정부는 필수 의료기기 등의 국내 제조를 장려하는 등 국민 보건안전 향상 및 관련 인프라 확보에 관심을 두고 있다. 2017년 태국 공중보건부는 ‘e-헬스 전략 로드맵(2017~2026)(전자보건전략)’을 발표하고 태국을 아세안 의료허브로 부상시키고자 한다. 공중보건부는 ‘e-헬스 전략’ 추진 관련 지속가능한 장기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 태국은 헬스케어 서비스, 보건 감독, 보건 교육 및 연구 등에 있어 정보통신기술(ICT)를 적극 활용하여 1) 전자보건 기초 확립, 2) 전자보건 관련 법적 토대 마련, 3) 원격보건, 4) 전자건강기록,..

kr.investing.com/news/economy/article-505461 애경산업, 동남아의 아마존 '쇼피' 입점 애경산업, 동남아의 아마존 '쇼피' 입점 kr.investing.com 애경산업은 15일 동남아시아 최대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쇼피’에 입점했다고 밝혔다. 애경산업은 쇼피 내에 애경 공식몰을 열고 화장품 브랜드 ‘에이지투웨니스’와 ‘루나’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번 입점으로 애경산업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4개국에서 사업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애경산업의 화장품 브랜드 ‘에이솔루션’, ‘플로우’와 생활용품 브랜드 ‘케라시스’ 등도 입점시킬 계획이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해외 진출 기회가 더..

태국은 몰 문화로 백화점에 입점 한다는 것은 한국보다 조금 더 까다롭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글로벌 브랜드라면 제의도 받고 하겠지만 디테일 하게 들어가면 GP 와 입지가 좋은 공간 획득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태국에서는 유통의 강자 센트럴 그룹에서 운영하는 센트럴 백화점(일명 센탄) 과 파라곤, 엠포리엄 백화점으로 유명한 더몰 그룹의 백화점, 씨암 센터로 유명한 씨암 피왓 그룹의 백화점. 세 그룹의 백화점이 가장 메이져급으로 볼 수 있겠다. 그외 두각을 드러내는 이케아 (이케아를 관리하는 SF) 등 여러곳에 있지만 파급력은 저 세곳이 가장 좋다. 회사를 소개하는 포트 폴리오를 준비하고 세 그룹의 담당 (패션, 식음료 등 파트별로 구별되어 팀이 구성되어 있음) 과 컨택하여 프레이젠테이션의 기회가 왔다면 절..

태국에 한국 의류 편집샵 에이랜드의 2주년 기사가 났다. KPOP 의 열풍은 금방 식을꺼라던 분석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아직 승승장구 하고 있다. 태국에서의 한국은 드라마와 가수들의 영향력이 큰 편이고 직접 피부로 접하는 한국의 이미지속에 화장품과 음식이 있지만 의류는 대부분 반짝하는 아이템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기존의 한국 브랜드를 가지고 오면 태국의 특성상 가격을 못맞추거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힘들었던것이 큰데, 에이랜드는 확실히 트랜드는 빠르게 반응하는것 같아서 잘 유지만 한다면 더욱 좋은 성과를 내지 않을까 한다. 기사에는 정확하게 나오지 않아서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필자가 알기로는 태국의 거대 백화점을 운영하는 씨암 피왓과 손을 잡고 진출한것으로 알고 있다. 씨암 피왓(Siam Piwat) ..
- Total
- Today
- Yesterday
- 태국축구
- 태국국제학교
- 태국입국
- 태국생활정보
- 태국생수
- 태국생활
- 한국여행
- 태국진출
- 태국자동차
- 태국코로나
- 태국전기차
- 태국자동차가격
- 태국자동차시장
- 태국 전기차
- 태국맛집
- 태국전기차가격
- cpall
- 태국부동산
- 해외생활
- 태국여행
- 티스토리챌린지
- 태국
- 태국뉴스
- 태국격리호텔
- 태국패밀리카
- 오블완
- 태국오블완챌린지
- 태국주식
- 태국 코로나
- 태국정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