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내 부동산 구매 국적별로 순위를 매겼는데 1위는 중국이 차지했다. 2위는 러시아 3위는 미국 4위는 미얀마 5위는 대만이 차지했다. 한국은 순위에 없고 10위에 일본이 링크되어 있다. 중국인들은 해외 부동산 구매를 중국 정부에서 막지만 않았더라도 더 많은 부동산을 소유했겠지만 말이다. (순위의 기준은 면적이다) 기본적으로 태국은 외국인 토지를 소유할 수 없다. 그래서 콘도처럼 외국인이 살 수 있는 부동산이 한정적이고 콘도를 구매하더라도 전체 세대 비율에 49%를 넘을 수 없다. 결국 태국은 외국인에게 다 넘기지 않는다. 콘도에서 분쟁이 붙어도 태국인이 51%를 소유하고 있기에 이길 수가 없는 싸움을 만들어 놓았다. 2024.01.22 - [태국이야기] - 태국 부동산 잘 고르는 법과 한국에서 통하는..

한국 부동산도 어마하지만 태국 부동산도 요즘 보면 어마한 것 같다. 자그마한 평수의 아파트 (태국은 콘도)가 천정부지로 가격이 오르는 것은 코로나 이후에 조금 살짝 꺾인 모습이지만 무반으로 불리는 전원주택은 더욱 불이 붙는 모양새다. 아무래도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유층들이 너도나도 붙으면서 더 가격이 올라가고 많은 프로젝트가 나오고 있다. 그중에 눈에 띄는 프로젝트가 있어 포스팅을 해서 남기고자 한다. 산시리는 현재 태국 총리의 회사로 홍콩 여행사로 시작해서 부동산까지 빠르게 성장한 기업으로 콘도보다는 무반에서 강세를 보이는 회사였는데 같은 브랜드 안에서도 럭셔리 라인이 따로 있는데 부간 Bugaan 이 가장 높은 브랜드라고 볼 수 있는데 시작가는 70-180백만 밧으로 나왔다. 180 백만바트..

경기를 가장 늦게 타는 것이 부동산이다. 라는 말을 동의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아닌 사람도 있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로 동감한다. 태국은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로 인해 3월에 전면 외국인 입국을 금지 시키고 내부 단속을 한 나라다. 그래서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은 산업은 관광업으로 여행사, 호텔, 항공사 등 큰 타격을 입었다.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데 부동산도 조금씩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어디든 기회는 있다. withbkk.tistory.com/172 TM30 24시간내 거주자 신고 간소화 시행 TM30은 태국에 거주 비자를 가지고 있는 외국인 모두에게 해당 되는 사항으로 태국에 장기 체류를 위한 비자와 90일 신고, 그리고 TM30 거주지 신고의 세가지 의무를 다해야 했다. 90일 신고는 온라� wi..
- Total
- Today
- Yesterday
- 태국
- 태국입국
- 오블완
- 태국격리호텔
- 태국오블완챌린지
- 태국코로나
- 태국축구
- 태국뉴스
- 태국맛집
- 태국자동차
- 태국국제학교
- 태국전기차가격
- 한국여행
- cpall
- 태국전기차
- 태국 전기차
- 티스토리챌린지
- 해외생활
- 태국자동차시장
- 태국정보
- 태국 코로나
- 태국생수
- 태국진출
- 태국생활
- 태국여행
- 태국주식
- 태국패밀리카
- 태국생활정보
- 태국부동산
- 태국자동차가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